아프리카 경제 공동체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아프리카 경제 공동체(AEC)는 1991년 아부자 조약을 통해 설립되었으며, 아프리카 대륙의 경제 통합을 6단계로 나누어 추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AEC는 지역 경제 공동체(REC)를 기반으로 하며, CEN-SAD, COMESA, EAC, ECCAS, ECOWAS, IGAD, SADC, UMA 등 8개의 주요 기둥으로 구성되어 있다. AEC는 아프리카 대륙 자유 무역 지대(AfCFTA)를 통해 통합을 추진하고 있으며, 한국은 AEC 내 여러 기둥과의 경제 협력을 모색하고 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1991년 경제 - 경제상호원조회의
경제상호원조회의는 소련이 마셜 플랜에 대응하여 1949년 설립한 사회주의 국가 경제 협력 기구로, 소련의 영향력, 경제적 불균형, 비효율적 계획경제로 목표 달성에 실패하고 1991년 해체되었다. - 1991년 경제 - 중미 통합 체제
중미 통합 체제(SICA)는 1991년 중미 국가들의 지역 통합과 협력을 증진하기 위해 창설되었으며, 벨리즈, 코스타리카, 도미니카 공화국 등 8개국이 정회원국으로 참여하고 대한민국을 비롯한 여러 국가와 국제기구가 옵서버로 참여하는 기구이다. - 아프리카의 경제 - 중앙아프리카 은행
중앙아프리카 은행(BEAC)은 중앙아프리카 경제 공동체 회원국의 중앙 은행으로, 1972년 프랑스와의 금융 협약에 따라 설립되어 1973년 운영을 시작했으며, 6개국을 회원국으로 두고 카메룬 야운데에 본사를 둔다. - 아프리카의 경제 - 서아프리카 중앙은행
서아프리카 중앙은행(BCEAO)은 서아프리카 통화 연합 회원국들의 중앙 은행으로, 통화 발행, 통화 정책 수립 및 시행, 은행 감독 등의 역할을 수행하며, 다카르에 본사를 두고 8개국이 회원으로 참여한다. - 경제특구 - 면세점
면세점은 관세, 부가가치세 등의 세금이 면제되어 여행객들이 출국 시나 특정 지역에서 상품을 구매할 수 있는 판매점으로, 1947년 아일랜드 섀넌 공항에 세계 최초의 면세점이 설립되었으며 다양한 형태로 운영된다. - 경제특구 - 경제자유구역
경제자유구역은 무역, 환적, 재수출을 위한 무관세 지역으로, 외국인 투자 유치와 고용 창출에 기여하지만 노동 조건 악화 및 조세 회피에 대한 비판도 존재하며, 다양한 유형으로 분류되어 여러 국가에서 운영된다.
아프리카 경제 공동체 | |
---|---|
개요 | |
공식 명칭 | 아프리카 경제 공동체 |
영어 명칭 | African Economic Community (AEC) |
프랑스어 명칭 | Communauté Économique Africaine (CEA) |
아랍어 명칭 | الجماعة الاقتصادية الأفريقية |
스와힐리어 명칭 | Jumuiya ya Kiuchumi ya Afrika |
포르투갈어 명칭 | Comunidade Económica Africana |
기타 명칭 | 스페인어: Comunidad Económica Africana 기타 아프리카 언어 |
설립 목표 | 아프리카 연합의 경제 통합 촉진 |
설립일 | 1991년 6월 3일 |
발효일 | 1994년 |
해체일 | 2023년 (아프리카 연합에 통합) |
회원국 | |
회원 자격 | 아프리카 연합 회원국 |
회원국 목록 | 아프리카 연합 회원국 전체 (녹색으로 표시된 국가) |
기구 구조 | |
최고 의사 결정 기구 | 아프리카 연합 총회 |
주요 기구 | 아프리카 연합 집행 위원회 전문 기술 위원회 아프리카 연합 경제 사회 문화 위원회 |
목표 | |
주요 목표 | 아프리카 대륙의 경제 통합 |
단계별 목표 | 지역 경제 공동체 강화 관세 동맹 형성 공동 시장 구축 통화 동맹 형성 최종적으로 경제 및 통화 통합 |
역사 | |
설립 배경 | 라고스 행동 계획 (1980년) 아프리카를 위한 아부자 조약 (1991년) |
주요 단계 | 지역 경제 공동체 강화 단계 대륙 자유 무역 지대 (AEC-FTA) 설립 추진 아프리카 관세 동맹 (AEC-CU) 형성 추진 아프리카 공동 시장 (AEC-CM) 구축 추진 아프리카 통화 동맹 (AEC-MA) 형성 추진 |
지역 경제 공동체 (REC) | |
주요 지역 경제 공동체 | 아랍 마그레브 연합 (UMA) 동아프리카 공동체 (EAC) 중앙아프리카 경제 공동체 (ECCAS) 사헬-사하라 국가 공동체 (CEN-SAD) 동남아프리카 공동 시장 (COMESA) 남아프리카 개발 공동체 (SADC) 서아프리카 경제 통화 연합 (UEMOA) 서아프리카 국가 경제 공동체 (ECOWAS) |
추가 정보 | |
관련 기구 | 아프리카 연합 |
웹사이트 | 아프리카 연합 공식 웹사이트 (아프리카 경제 공동체 관련 정보) |
2. 역사적 배경
현재 아프리카에는 여러 지역 경제 공동체(REC)들이 존재하며, 많은 국가들이 중복 가입되어 있다. 이러한 REC들은 주로 무역 블록으로 구성되며, 정치 및 군사 협력도 이루어진다. 이 REC들은 아프리카 경제 공동체(AEC)의 기반이 되는데, 회원국 중복 문제로 인해 일부 국가들은 결국 하나 이상의 REC에서 탈퇴할 가능성이 있다.
기둥 | 하위 그룹 |
---|---|
사헬-사하라 국가 공동체(CEN-SAD) | |
동남아프리카 공동 시장(COMESA) | |
동아프리카 공동체(EAC) | |
중앙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CAS/CEEAC) | 중앙 아프리카 경제 및 통화 공동체(CEMAC) |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WAS) | 서아프리카 경제 통화 연합(UEMOA) |
정부간 개발 기구(IGAD) | |
남부 아프리카 개발 공동체(SADC) | 남부 아프리카 관세 동맹(SACU) 공동 통화 구역(CMA) |
아랍 마그레브 연합(UMA) |
아프리카 경제 공동체(AEC)는 1991년 아부자 조약을 통해 설립되었다.
2. 1. 아부자 조약
1991년에 서명되고 1994년에 발효된 아부자 조약에 따라 아프리카 경제 공동체(AEC)가 설립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6단계로 구성될 예정이다.# (1999년 완료) 지역 블록이 아직 존재하지 않는 지역에 지역 블록 창설
# (2007년 완료) 지역 경제 공동체(REC) 간 통합 강화 및 REC 간 조화
# (2021년 완료) 각 지역 블록에 자유 무역 지역 및 관세 동맹 설립
# (2023년 완료 예정) 범대륙 관세 동맹(및 자유 무역 지역) 설립
# (2025년 완료 예정) 범대륙 '''아프리카 공동 시장'''(ACM) 설립
# (2028년 완료 예정) 범대륙 경제 통화 동맹(및 통화 동맹) 및 의회 설립
:* 모든 전환 기간 종료: 늦어도 2034년까지
3. AEC의 기둥
아프리카 경제 공동체(AEC)는 여러 지역 경제 공동체(REC)를 기반으로 구성되며, 이들을 '기둥'이라고 부른다. 각 기둥은 해당 지역의 경제 통합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여러 REC에 중복 가입된 국가들이 많아, AEC의 효율적인 운영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이러한 문제는 회원국들이 여러 REC의 의무를 동시에 이행해야 하는 부담을 가중시키고, 지역 통합 노력을 분산시키는 결과를 초래한다.
현재 AEC의 기둥 역할을 하는 REC는 다음과 같다. (하위 섹션의 내용과 중복을 피하기 위해 회원국 목록은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표기한다.)
- 사헬-사하라 국가 공동체(CEN-SAD): 1998년 설립, 29개 회원국.
- 동남아프리카 공동 시장(COMESA): 1994년 설립, 자유 무역 지대 운영 중. 동아프리카 공동체(EAC), 남부 아프리카 개발 공동체(SADC)와 아프리카 자유 무역 지대(AFTZ) 결성 합의.
- 동아프리카 공동체(EAC): 2001년 설립, 한국과 긴밀한 협력 관계 유지.
- 중앙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CAS): 1985년 설립, 하위 그룹으로 중앙아프리카 경제 통화 공동체(CEMAC) 존재.
-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WAS): 1975년 설립, 하위 그룹으로 서아프리카 경제 통화 연합(UEMOA), 서아프리카 통화 지대(WAMZ) 존재.
- 정부간 개발 기구(IGAD): 1986년 설립, 동아프리카 지역 평화와 안정에 기여.
- 남부 아프리카 개발 공동체(SADC): 1980년 설립, 하위 그룹으로 남부 아프리카 관세 동맹(SACU) 존재.
- 아랍 마그레브 연합(UMA): 1989년 설립, 모로코의 반대로 AEC 불참.
3. 1. 주요 지역 경제 공동체 (REC)
현재 아프리카에는 지역 경제 공동체(REC)라고도 불리는 여러 개의 지역 블록이 있다. 많은 국가가 중복 가입되어 있으며, REC는 주로 무역 블록으로 구성되고, 경우에 따라 정치 및 군사 협력도 이루어진다.이러한 REC의 대부분은 아프리카 경제 공동체(AEC)의 "기둥"을 형성하며, 이 중 상당수는 회원국이 중복되기도 한다. 이처럼 중복 비율이 높기 때문에 여러 곳에 가입한 일부 국가들은 결국 하나 이상의 REC에서 탈퇴할 가능성이 있다.
다음은 아프리카 경제 공동체(AEC)의 주요 지역 경제 공동체(REC)와 해당 하위 그룹을 나타낸 표이다.
기둥 | 하위 그룹 |
---|---|
사헬-사하라 국가 공동체(CEN-SAD) | |
동남아프리카 공동 시장(COMESA) | |
동아프리카 공동체(EAC) | |
중앙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CAS/CEEAC) | 중앙 아프리카 경제 및 통화 공동체(CEMAC) |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WAS) | 서아프리카 경제 통화 연합(UEMOA) |
정부간 개발 기구(IGAD) | |
남부 아프리카 개발 공동체(SADC) | 남부 아프리카 관세 동맹(SACU) 공동 통화 구역(CMA) |
아랍 마그레브 연합(UMA) |
각 REC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하위 섹션을 참조하면 된다.
3. 1. 1. 사헬-사하라 국가 공동체 (CEN-SAD)
사헬-사하라 국가 공동체(CEN-SAD)는 1998년에 부르키나파소, 차드, 리비아, 말리, 니제르, 수단 6개국이 창립 회원국으로 참여하여 설립되었다. 이후 여러 국가들이 추가로 가입하여 현재는 29개국이 회원으로 있다.CEN-SAD와 한국과의 관계는 구체적인 자료가 없어 명확하게 파악하기 어렵다. 하지만, 한국 기업들이 아프리카 지역에 투자하고 개발 협력 사업을 진행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CEN-SAD 회원국들과도 경제 협력 관계를 맺고 있을 가능성이 있다.
가입 시기 | 국가 |
---|---|
1998년 (창립) | 부르키나파소, 차드, 리비아, 말리, 니제르, 수단 |
1999년 | 중앙아프리카 공화국, 에리트레아 |
2000년 | 지부티, 감비아, 세네갈 |
2001년 | 이집트, 모로코, 나이지리아, 소말리아, 튀니지 |
2002년 | 베냉, 토고 |
2004년 | 코트디부아르, 기니비사우, 라이베리아 |
2005년 | 가나, 시에라리온 |
2007년 | 코모로, 기니 |
2008년 | 케냐, 모리타니, 상투메 프린시페 |
2009년 | 카보베르데 |
3. 1. 2. 동남아프리카 공동 시장 (COMESA)
동남아프리카 공동 시장(COMESA)은 1994년에 설립되었으며, 창립 회원국은 다음과 같다.창립 회원국 (1994) |
---|
이후 다음 국가들이 COMESA에 추가로 가입하였다.
추가 가입국 |
---|
다음은 COMESA에서 탈퇴한 국가들이다.
탈퇴 회원국 |
---|
COMESA는 자유 무역 지대를 시행 중이며, 2008년에는 관세 동맹을 제안했다.
2008년 10월 22일, COMESA는 동아프리카 공동체(EAC), 남부 아프리카 개발 공동체(SADC)와 함께 아프리카 자유 무역 지대(AFTZ)를 결성하기로 합의했다. 2012년 5월에는 이 아이디어가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WAS), 중앙 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CAS), 아랍 마그레브 연합(UMA)까지 포함하도록 확장되었다.
3. 1. 3. 동아프리카 공동체 (EAC)
동아프리카 공동체(EAC)는 2001년에 설립되었으며, 케냐, 탄자니아, 우간다 3개국이 창립 회원국이다. 이후 2007년에 부룬디와 르완다가, 2016년에 남수단이 합류하였다.
EAC는 한국과의 관계를 중점적으로 발전시켜왔다. 한국은 EAC 회원국에 개발 원조, 기술 협력, 인적 교류 등을 제공하며 협력 관계를 강화하고 있다. 특히, 한국의 경제 발전 경험은 EAC 회원국들에게 중요한 모델이 되고 있으며, 다양한 분야에서 한국의 기술과 노하우를 전수받고 있다.
3. 1. 4. 중앙아프리카 경제 공동체 (ECCAS)
중앙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CAS)는 1985년에 창립되었으며, 회원국은 다음과 같다.창립 회원국 (1985) | 추가 가입국 |
---|---|
한국은 중앙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CAS)와 자원 개발 협력, 인프라 구축 지원 등 다양한 분야에서 관계를 맺고 있다.
; 중앙아프리카 경제 통화 공동체(CEMAC)
중앙아프리카 경제 통화 공동체(CEMAC)은 중앙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CAS)의 하위 그룹으로, 1999년에 설립되었으며, 다음과 같은 회원국을 가지고 있다.
3. 1. 5.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 (ECOWAS)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WAS)는 1975년에 설립된 지역 경제 공동체이다.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WAS) |
---|
창립 회원국 (1975): |
나중에 가입: |
탈퇴 회원국: |
; 서아프리카 경제 통화 연합(UEMOA)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WAS)의 하위 그룹으로, 1994년에 설립되었다. 1994년부터 회원국은 Bénin|베냉프랑스어, Burkina Faso|부르키나파소프랑스어, Côte d'Ivoire|코트디부아르프랑스어, Mali|말리프랑스어, Mauritanie|모리타니프랑스어, Sénégal|세네갈프랑스어, Togo|토고프랑스어이며, Guiné-Bissau|기니비사우pt는 1997년부터 회원국이다.
; 서아프리카 통화 지대(WAMZ)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WAS)의 하위 그룹으로, 2000년에 설립되었다. 2000년부터 회원국은 The Gambia|감비아영어, Ghana|가나영어, Guinée|기니프랑스어, Nigeria|나이지리아영어, Sierra Leone|시에라리온영어이며, Liberia|라이베리아영어는 2010년부터 회원국이다.
3. 1. 6. 정부간 개발 기구 (IGAD)
정부간 개발 기구(IGAD)는 1986년에 설립되었으며, 회원국은 다음과 같다.
IGAD는 아프리카 경제 공동체(AEC)의 주요 지역 경제 공동체 중 하나이며, 한국의 대(對)아프리카 외교 정책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특히, 동아프리카 지역의 평화와 안정을 위한 IGAD의 역할은 한국의 외교적 노력과 맞닿아 있으며, 양측 간의 협력은 지속적으로 강화될 필요가 있다.
3. 1. 7. 남아프리카 개발 공동체 (SADC)
Southern African Development Community; SADC영어는 1980년에 설립되었으며, 현재 회원국은 다음과 같다.가입 시기 | 국가 |
---|---|
1980년 (설립) | 앙골라 |
보츠와나 SACU-70 | |
레소토 SACU-70 | |
말라위 | |
모잠비크 | |
에스와티니 SACU-70 | |
탄자니아 | |
짐바브웨 | |
1990년 | 나미비아 SACU-90 |
남아프리카 공화국 SACU-70 | |
1995년 | 모리셔스 |
1997년 | 콩고 민주 공화국 |
세이셸 2004-2007년 탈퇴 | |
2005년 | 마다가스카르 |
- SACU-70: 1970년부터 남아프리카 관세 동맹(SACU) 회원국
- SACU-90: 1990년부터 남아프리카 관세 동맹(SACU) 회원국
남아프리카 개발 공동체(SADC)는 남아프리카 지역의 경제 협력을 목표로 하는 지역 경제 공동체이다. 특히 한국 기업들은 SADC 회원국들의 광물 자원 개발에 참여하고 있으며, 앞으로 경제 협력이 더욱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
==== 남아프리카 관세 동맹 (SACU) ====
남아프리카 관세 동맹(SACU)은 SADC의 하위 그룹으로, 관세 동맹을 맺고 있다.
3. 1. 8. 아랍 마그레브 연합 (UMA)
اتحاد المغرب العربيar인 아랍 마그레브 연합(UMA)은 1989년에 설립되었으며, 알제리, 리비아, 모리타니, 모로코, 튀니지가 창립 회원국이다. UMA는 모로코의 반대로 인해 현재까지 아프리카 경제 공동체(AEC)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한국과 UMA 간의 관계는 아직 구체적으로 정립되지 않았지만, 다음과 같은 협력 가능 분야가 존재할 수 있다.
- 경제 협력: 무역 블록으로서 UMA는 한국 기업에게 북아프리카 시장 진출의 교두보 역할을 할 수 있다. 특히, 모로코와 튀니지는 안정적인 경제 성장과 개방 정책을 통해 한국과의 경제 협력을 확대할 잠재력이 크다.
- 건설 및 인프라: UMA 회원국들은 도시화 및 산업화에 따라 도로, 항만, 발전소 등 인프라 수요가 높다. 한국의 건설 및 인프라 기술은 이들 국가의 경제 발전에 기여할 수 있다.
- 신재생 에너지: 북아프리카 지역은 풍부한 일조량과 바람 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태양광 및 풍력 발전의 잠재력이 크다. 한국의 신재생 에너지 기술은 UMA 회원국들의 에너지 전환에 기여할 수 있다.
- 문화 교류: 한국과 UMA 회원국들은 문화 교류를 통해 상호 이해를 증진하고, 인적 교류를 확대할 수 있다. 특히, 한류 문화 콘텐츠는 북아프리카 지역에서 인기를 얻고 있으며, 문화 교류 활성화에 기여할 수 있다.
UMA는 북아프리카 지역의 경제 통합을 목표로 하는 중요한 지역 기구이다. 한국은 UMA와의 협력을 통해 북아프리카 지역과의 관계를 강화하고, 경제, 문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상호 이익을 증진할 수 있을 것이다.
4. AEC 통합 진행 상황
아프리카 경제 공동체(AEC)는 1991년에 서명되고 1994년에 발효된 아부자 조약을 통해 설립되었으며, 6단계에 걸쳐 통합을 진행할 예정이다.
# 1단계 (1999년 완료): 지역 블록 창설. 아랍 마그레브 연합 회원국과 서사하라는 참여하지 않았고, 소말리아는 참여 중이나 실제 시행은 없다.
# 2단계 (2007년 완료): 지역 경제 공동체(REC) 간 통합 강화 및 REC 간 조화. 꾸준한 진척은 있으나, 확인된 사실은 없다.
# 3단계 (2021년 완료): 각 지역 블록에 자유 무역 지역 및 관세 동맹 설립.
아프리카 경제 공동체(AEC)의 기둥인 지역 블록 | |||||||||||
---|---|---|---|---|---|---|---|---|---|---|---|
활동 | 사헬-사하라 국가 공동체 (CEN-SAD) | 동아프리카 및 남부 아프리카 공동 시장 (COMESA) | 동아프리카 공동체 (EAC) | 중앙 아프리카 경제 공동체 (ECCAS) |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 (ECOWAS) | 정부간 개발 기구 (IGAD) | 남부 아프리카 개발 공동체 (SADC) | 아랍 마그레브 연합 (UMA) | |||
중앙 아프리카 경제 및 통화 공동체 (CEMAC) | 공통 | 서아프리카 경제 통화 연합 (UEMOA) | 서아프리카 통화 지대 (WAMZ) | 남부 아프리카 관세 동맹 (SACU) | 공통 | ||||||
자유 무역 지대 | 보류 | 진행 중1 | 완전 시행 | 완전 시행 | 2007년 제안 | 완전 시행 | 제안 | 보류 | 완전 시행 | 진행 중2 | 보류 |
관세 동맹 | 보류 | 2008년 제안 | 완전 시행 | 완전 시행 | 2011년 제안 | 완전 시행 | 2007년 제안 | 보류 | 완전 시행 | 2010년 제안 | 보류 |
1 콩고 민주 공화국 (가입 협상 중), 에리트레아, 에티오피아, 세이셸 (가입 협상 중), 에스와티니 (SACU가 스와질란드의 FTA 가입을 허가할 때까지 유예), 우간다 (조만간 가입 예정)은 아직 참여하지 않았다.2 앙골라, 콩고 민주 공화국, 세이셸은 아직 참여하지 않았다.
# 4단계 (2023년 완료 예정): 범대륙 관세 동맹(및 자유 무역 지역) 설립. 2018년 3월, 49개 아프리카 국가가 아프리카 대륙 자유 무역 협정에 서명하여 아프리카 대륙 자유 무역 지대(AfCFTA)를 구축하는 길을 열었다. 이 대륙 자유 무역 지대는 22개 국가의 비준을 거쳐 2019년 7월부터 발효되었으며,[4][5] 2021년 기준으로 34개 서명국이 조약 당사국이 되었다.
# 5단계 (2025년 완료 예정): 범대륙 '''아프리카 공동 시장'''(ACM) 설립. 아직 진척 없음.
# 6단계 (2028년 완료 예정): 범대륙 경제 통화 동맹(및 통화 동맹) 및 의회 설립. 아직 진척 없음. 모든 전환 기간은 늦어도 2034년까지 종료될 예정이다.
현재 아프리카에는 여러 개의 지역 블록(REC)이 존재하며, 많은 국가가 중복 가입되어 있다. 이러한 REC는 AEC의 "기둥" 역할을 하며, 회원국 중복 문제로 인해 일부 국가는 하나 이상의 REC에서 탈퇴할 가능성이 있다.
기둥 | 하위 그룹 |
---|---|
사헬-사하라 국가 공동체(CEN-SAD) | |
동남아프리카 공동 시장(COMESA) | |
동아프리카 공동체(EAC) | |
중앙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CAS/CEEAC) | 중앙 아프리카 경제 및 통화 공동체(CEMAC) |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WAS) | 서아프리카 경제 통화 연합(UEMOA) 서아프리카 통화 지대(WAMZ) |
정부간 개발 기구(IGAD) | |
남부 아프리카 개발 공동체(SADC) | 남부 아프리카 관세 동맹(SACU) 공동 통화 구역(CMA) |
아랍 마그레브 연합(UMA) |
4. 1. AfCFTA (아프리카 대륙 자유 무역 지대)
2018년 3월 21일 르완다 키갈리에서 열린 아프리카 연합 특별 정상회의에서 아프리카 대륙 자유 무역 지대(AfCFTA) 협정이 체결되었다.[1] 이 협정은 아프리카 경제 공동체를 구성하는 중요한 단계로, 아프리카 대륙 내 무역 장벽을 제거하고 경제 통합을 가속화하기 위해 추진되었다.[1]AfCFTA는 상품과 서비스 무역 자유화, 투자, 지식 재산권, 경쟁 정책 등 다양한 분야를 포괄한다.[1] 이를 통해 아프리카 국가들은 역내 무역을 확대하고,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며, 산업화를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1] 또한, AfCFTA는 아프리카 대륙을 단일 시장으로 통합하여 국제 무대에서 아프리카의 협상력을 강화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1]
AfCFTA는 대한민국에게도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한국은 AfCFTA를 통해 아프리카 시장 진출 기회를 확대하고, 자원 확보 및 인프라 개발 협력 등 다양한 분야에서 협력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다.
5. 기타 아프리카 지역 블록
CEN-SAD, COMESA, EAC, ECOWAS, ECCAS, IGAD, UMA, SADC는 아프리카 경제 공동체의 주요 지역 블록이다.
UMA는 모로코의 반대로 인해 현재까지 AEC에 참여하고 있지 않다.
AEC 프레임워크에 참여하지 않는 다른 아프리카 지역 블록은 다음과 같다.
- GAFTA (아프리카 외 지역을 포함한 대부분의 중동 국가 기구)
- CEPGL
- COI
- LGA
- MRU
6. AEC의 과제와 전망
AEC는 회원국 간 경제력 격차, 정치적 불안정, 인프라 부족 등 여러 과제에 직면해 있다. 또한, 여러 지역 경제 공동체(REC)에 중복 가입된 국가들이 많아 AEC의 통합을 저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1]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중복 가입 문제를 해소하고, REC 간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1]
AEC는 1991년 아부자 조약을 통해 설립되어 2028년까지 범대륙 경제 통화 동맹 및 의회 설립을 목표로 하고 있다.[1] 하지만, 여러 REC가 중복되고, 일부 REC는 자체적으로 더 긴밀한 관세 및 통화 동맹을 맺고 있어 AEC의 발전 단계를 저해할 수 있다.[1]
기둥 | 하위 그룹 |
---|---|
사헬-사하라 국가 공동체(CEN-SAD) | |
동남아프리카 공동 시장(COMESA) | |
동아프리카 공동체(EAC) | |
중앙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CAS/CEEAC) | 중앙 아프리카 경제 및 통화 공동체(CEMAC) |
서아프리카 경제 공동체(ECOWAS) | 서아프리카 경제 통화 연합(UEMOA) |
정부간 개발 기구(IGAD) | |
남부 아프리카 개발 공동체(SADC) | 남부 아프리카 관세 동맹(SACU) 공동 통화 구역(CMA) |
아랍 마그레브 연합(UMA) |
AEC의 성공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회원국 간 경제력 격차 완화, 정치적 안정, 인프라 확충, REC 간 중복 문제 해소 등 다양한 노력이 필요하다. 특히, 한국은 아프리카와의 경제 협력을 강화하여 AEC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7. 한국과 AEC의 협력
현재 아프리카에는 여러 지역 경제 공동체(REC)들이 존재하며, 많은 국가들이 중복 가입되어 있다. 이 REC들은 아프리카 경제 공동체(AEC)의 "기둥" 역할을 한다. 회원국 중복 문제로 인해 일부 국가들은 결국 하나 이상의 REC에서 탈퇴할 가능성이 있다.
(원문에는 '한국과 AEC의 협력'에 대한 내용이 없어, 본 섹션에는 내용을 추가할 수 없다.)
참조
[1]
웹사이트
SADC, COMESA and the EAC: Conflicting regional and trade agendas
https://web.archive.[...]
Institute for Global Dialogue
2011-05-07
[2]
웹사이트
African integration is great but has its hurdles
https://web.archive.[...]
New Vision
2011-05-07
[3]
웹사이트
Rwanda back to Central Africa bloc, 10 years on
https://www.theeasta[...]
2017-10-04
[4]
웹사이트
Africa free trade agreement gets last ratification from Gambia
https://web.archive.[...]
2019-04-02
[5]
웹사이트
AfCFTA Agreement secures minimum threshold of 22 ratification as Sierra Leone and the Saharawi Republic deposit instruments
https://au.int/en/pr[...]
2020-08-11
[6]
웹사이트
East Africa e-passports to be issued in 2018
https://www.theeasta[...]
2017-10-04
[7]
웹사이트
WT/COMTD/N/11
http://docsonline.wt[...]
[8]
웹사이트
WT/COMTD/N/21
http://docsonline.wt[...]
[9]
웹사이트
Africa free trade zone in operation by 2018
https://web.archive.[...]
[10]
웹인용
SADC, COMESA and the EAC: Conflicting regional and trade agendas
http://www.igd.org.z[...]
Institute for Global Dialogue
2008-10
[11]
웹인용
African integration is great but has its hurdles
http://www.newvision[...]
New Vision
2010-05-26
[12]
웹인용
Rwanda back to Central Africa bloc, 10 years on
http://www.theeastaf[...]
2017-10-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